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부드럽고 다재다능한 포도품종, 메를로 - Merlot [와인]

by 영신이네 2023. 2. 20.
반응형

와인은 포도품종에 따라 선호되는 음식도, 맛도 모두 다르다. 가장 무난하고 대부분의 음식과 잘 어울리는 포도, 메를로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안녕하세요 이것저것 끄적이는 영신이입니다. 모두들 와인은 언제 즐겨 마시나요? 사람마다 다르지만 보통은 분위기를 낼때, 소중한 사람들과의 식사, 귀한 손님에게 대접할때 등등 주로 답례나 선물, 중요한 식사자리에서 많이 마십니다. 포도마다 특징이 달라 메뉴가 어떻고 산도와 탄닌은 어떠한지도 잘 알아두면 와인을 추천하고 시음할때 이쁨을 받을 수 있죠 :)
와인도 어려운데 포도품종은 더더욱 모르는 분들께 오늘은 거의 모든 음식들과 어울리고 심지어 음식 없이도 충분히 즐길 수 있는 인기있는 품종, 메를로(Merlot)를 소개하려 합니다!


메를로 - Merlot
지빠귀, 티티새를 뜻하는 프랑스어에서 유래된 메를로는 다른 포도들과는 다르게 유난히 달콤하고 과즙이 풍부해서 종달새들이 주로 즐겨먹어서 이런 이름을 붙였다고 합니다. 단종이 아닌 카베르네 프랑, 마그들렌 데 샤랑트의 접합종이자 프랑스의 보르도지역이 본고장입니다.

유독 부드러운 이유는?
메를로는 프랑스의 보르도지역에서 재배되는데 이 지역의 기후는 매우 따뜻하기 때문에 과즙의 농축도가 매우 우수합니다. 카베르네 소비뇽과 비교했을 때, 숙성이 보다 빠르고 순하면서 향긋하기에 알맹이는 더욱 통통하고 과즙도 풍부, 단맛이 강합니다. 그래서 다른 와인들보다 떫은맛이 적으며 단맛이 나기에 무난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다른 품종보다 과즙도 많고 부드럽기 때문에 유독 산도와 탄닌이 강한 포도품종과 혼합해서 절묘한 맛을 내기도 합니다.

어떻게 먹어야 할까?
메를로 품종의 레드와인은 앞서 설명드린 내용과 비슷합니다. 탄닌이 적고(떫은맛) 단맛이 나기 때문에 엄청 부드럽습니다. 음식없이 와인만 마셔도 충분하며 소, 오리 등의 육류나 한식도 잘 어울립니다. 또한 레드와인이기에 식전주로도 제격이며 수많은 아시아의 향신료하고도 잘 어울립니다. 그냥 대부분의 음식들과 모두 조화가 좋다고 생각하면 되고, 술을 잘 못하는 지인에게 선물용으로도 충분하며 대부분이 마시고 좋아할 정도입니다. (실제로 다들 좋아함)

.

메를로 품종 와인
- 시데레우스 토스카나 로쏘
: 이탈리아의 토스카나 지역에서 생산

- 라디콘, 메를로
: 이탈리아의 프리울리 지역에서 생산

- 소그라페
: 포르투칼 국가에서 생산

- 롱반 메를로
: 미국의 켈리포니아 지역에서 생산

가격대도 저렴하고 마트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며 소비자만족도도 괜찮은 와인 4종류입니다.

오늘도 좋은하루 보내세요 :)

반응형

댓글